「어느 앱등이 기자의 무리수」라는 글에 소개된 IGN의 기사 「Apple's Technology Hit List - Six technologies Apple has or is actively trying to make obsolete」는 애플 때문에 사라진(사라지게될) 6가지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어도브 플래쉬. 아이폰 대중화 이전에는 PC에서 가장 보편적으로(아마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었지만, 잡스가 iOS에선 지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 모바일 시장으로 진입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덕분에 예전에는 시장 표준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엔 다양한 선택지 가운데 하나 정도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플로피 디스크. 1998년 잡스의 애플 복귀 이후 발표된 첫번째 보급형 컴퓨터가 아이맥(iMac)입니다. 여기서 아예 FDD가 빠지게 됩니다.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일이었지만, FDD는 이미 수명이 다해가고 있던 상황. 아이맥이 FDD 가 없어도 충분히 잘팔림을 증명하자, 이후 대부분의 컴퓨터 기본 사양에서 FDD가 없어지기 시작합니다.
세번째는 타워형 PC 본체. 우리가 흔히 쓰는 데스크탑 PC를 말합니다. 사실 아직까진 데스크탑형 본체가 사라지고 있다고 보는 것은 무리입니다만... 애플 제품에선 확실하게 밀려나고 있는 중입니다. 고급 사용자을 위한 맥 프로-를 제외하면 모니터와 분리된 본체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맥미니는.. 타워형 PC는 아니니, 제외하기로 합니다. (므흣)

네번째는 전용 휴대용 게임기. 스마트폰의 활발한 보급 이후 닌텐도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플랫폼은 아이패드이며,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 역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물론 이 영역은 좀 더 두고봐야 합니다. 3DS가 죽쑤고는 있지만, PS VITA의 발매가 예정되어 있거든요. 그리고 스마트폰은 캐주얼 게임을 즐기기엔 적당하지만, 좀더 코어한 게임을 즐기기엔... 아직까진 많이 부족하다 여겨집니다.
다섯번째는 음악CD. 물론 음악CD 자체야 여전히 존재하지만, 음반시장 규모는 확실히 줄었습니다. 잡스는 아이튠즈를 통해 음악 시장을 음반 시장에서 음원 시장으로 성공적으로 전환시켰습니다. 여기에 반론이 있을까요?
여섯번째는 광학 드라이브. 다시 말해 CD, 또는 DVD 드라이브입니다. 이미 넷북 계열에서는 없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다른 분들도 없어서 별 불편없이 쓰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지만... 이번에 출시된 맥 미니, 다시 말해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CD 드라이브를 제거해 버렸습니다. 이런 경향성이 맞다면, 앞으로 애플은 보급형 기기부터 시작해, 점점 대부분의 기기에서 CD 드라이브를 없애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진행형인 사안입니다.
앱등이라고 보기엔, 그냥 저냥 무난한 기사(솔직하게 얘기하자면 재탕에 가까운)인데요.
첫번째는 어도브 플래쉬. 아이폰 대중화 이전에는 PC에서 가장 보편적으로(아마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었지만, 잡스가 iOS에선 지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후, 모바일 시장으로 진입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덕분에 예전에는 시장 표준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엔 다양한 선택지 가운데 하나 정도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플로피 디스크. 1998년 잡스의 애플 복귀 이후 발표된 첫번째 보급형 컴퓨터가 아이맥(iMac)입니다. 여기서 아예 FDD가 빠지게 됩니다.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일이었지만, FDD는 이미 수명이 다해가고 있던 상황. 아이맥이 FDD 가 없어도 충분히 잘팔림을 증명하자, 이후 대부분의 컴퓨터 기본 사양에서 FDD가 없어지기 시작합니다.
세번째는 타워형 PC 본체. 우리가 흔히 쓰는 데스크탑 PC를 말합니다. 사실 아직까진 데스크탑형 본체가 사라지고 있다고 보는 것은 무리입니다만... 애플 제품에선 확실하게 밀려나고 있는 중입니다. 고급 사용자을 위한 맥 프로-를 제외하면 모니터와 분리된 본체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맥미니는.. 타워형 PC는 아니니, 제외하기로 합니다. (므흣)

네번째는 전용 휴대용 게임기. 스마트폰의 활발한 보급 이후 닌텐도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플랫폼은 아이패드이며,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 역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물론 이 영역은 좀 더 두고봐야 합니다. 3DS가 죽쑤고는 있지만, PS VITA의 발매가 예정되어 있거든요. 그리고 스마트폰은 캐주얼 게임을 즐기기엔 적당하지만, 좀더 코어한 게임을 즐기기엔... 아직까진 많이 부족하다 여겨집니다.
다섯번째는 음악CD. 물론 음악CD 자체야 여전히 존재하지만, 음반시장 규모는 확실히 줄었습니다. 잡스는 아이튠즈를 통해 음악 시장을 음반 시장에서 음원 시장으로 성공적으로 전환시켰습니다. 여기에 반론이 있을까요?
여섯번째는 광학 드라이브. 다시 말해 CD, 또는 DVD 드라이브입니다. 이미 넷북 계열에서는 없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다른 분들도 없어서 별 불편없이 쓰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지만... 이번에 출시된 맥 미니, 다시 말해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도 CD 드라이브를 제거해 버렸습니다. 이런 경향성이 맞다면, 앞으로 애플은 보급형 기기부터 시작해, 점점 대부분의 기기에서 CD 드라이브를 없애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진행형인 사안입니다.
앱등이라고 보기엔, 그냥 저냥 무난한 기사(솔직하게 얘기하자면 재탕에 가까운)인데요.
덧글
2. 어차피 한국에 스마트폰은 등장할 수 밖에 없었다-라고도 말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아이폰 쇼크로 한국 사회가 급격히 변했다고도 합니다. 어떤 쪽에서 보든 자기 맘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아이폰 쇼크-라고 말하는 사람이 더 많지요. FDD 역시 그렇습니다. 당시 FDD는 쓰이고 있어서 탑재되던 장치가 아니라, 그래도 어쨌든-하면서 탑재됐던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3. 글 자체가 없앴거나 없앨-기술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미 없애고 있다는 확정형이 아니라. 그리고 읽는 이는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고 있기도 합니다. 위 기사에 나온 내용은 말 그대로 무난하다고 볼 수 밖에요.
링크된 기사 원문은 FDD에 대해 Apple had the foresight to ditch the archaic technolog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iMac G3 in 1998 정도만 적고 있을 뿐입니다.
제가 자주 가는 커뮤니티에도 저 글이 올라왔던데, 맥의 낮은 점유율때문에 영향이 미비했다는 말이 왜이리 많던지..
FDD의 퇴출이 시대적 대세였다는 의견에는 도저히 동의를 못하겠더군요.. 시대의 대세였는데 모든 컴퓨터엔 다 FDD가 달려서 나올때 애플이 과감히 없애버린 아이맥이 대박을 터뜨리면서 방아쇠가 된것은 확실해 보이는데 말이죠..
점유율이 미비하면 기술의 흐름을 선도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것이 참 아쉬웠습니다..
잡스의 흔들기 공세에 플래시가 여전히 굳건한 이유도 플래시의 점유율 덕택입니다.
일단 저 기사가 비웃음을 사는 이유는 애플과 관련 없는 일까지 애플의 업적으로 포장하거나, 아직 벌어지지 않은 일까지 침소봉대 했기 때문입니다. 이명박씨가 '내가 했소.'라고 하면 비웃음 사는 거랑다를 게 없습니다. 전혀 정상적인 기사가 아닙니다.
점유율이 항상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5% 내외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맥, 그 중에서도 막 출시 된 최신 제품인 아이맥이 과연 시장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을까요?
잼아줌마/ 당시 점유율은 영향력에 대한 상관관계는 보여줄수 있어도 인과관계는 보여줄 수 없습니다. MS의 익스플로러 같은 경우 OS 점유율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아이폰도 시작할 때는 점유율 0% 였습니다(응?). 90년대는 잡스가 없었으니까요...쩝.
맥보다 PC에서 FDD가 사라진 것이 늦은 이유는 CD 부팅과 관련이 더 깊습니다. 이미 FDD는 PC에서도 1990년대 극후반부터는 사용 빈도가 확 줄었습니다. 그래도 유지된 이유는 CD로 부팅되는 메인보드의 도입이 늦어졌기 때문입니다. 그 때문에 OS 최초 설치할 때만 사용하는 FDD가 계속 유지되었죠. 가격도 1만원이면 장착 가능했기 때문에 PC 입장에서는 설치하는 데 부담도 없었고요. 거의 모든 메인보드에서 CD 부팅이 지원되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OS인 윈도우 XP가 나오자(그 전의 주류였던 윈도우 95,98은 몇 개월에 한번은 재설치를 해야 될 정도로 불안정했습니다) 비로소 사라지게 된 거죠.
시디부팅과 더불어 저렴해진 ODD 가격이 한몫을 했다고 봅니다.
지금은 시디없이 대용량 USB부팅을 하는 형편이니 설마 이것도 잡스의 선경지명?
아이맥에서 플로피를 떼면서 잡스가 한 말이고, 잡스가 플로피를 죽였다-라는 평판을 얻게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영향력있는 사람 중에 공식적으로 플로피가 필요없다고 한 사람은 저 사람 밖에 없었거든요.
2. 당시를 기억하신다면, 아이맥이 얼마나 히트 쳤는지는 잘 기억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3. 부팅 디스크... 예비삼아 하나는 지금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젠 제대로 작동할 지는 모르겠지만. 당시 디스크 사용률이 확줄었다고 하기도 그러네요. 그때 대학교에선 플로피 디스크를 가지고 다니는 학생들이 꽤 많았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잡스가 말 한마디 했다고 시대 흐름이 갑자기 확 바뀌었다고 이야기하는 건 애플빠로서의 편견을 가감없이 비추어 내는 것 밖에 되지 않습니다. 잡스가 말 한마디 하기 전에 이미 IBM-PC에서부터 흐름은 그렇게 바뀌고 있었고, 잡스와 아이맥은 여기다 숟가락 얹은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아이맥은 그렇게 FDD를 빼고 독자적으로 발전해 갔고, IBM-PC도 FDD가 필요없어지자 자연적으로 도태된 것, 그 뿐입니다. IBM-PC 호환기종의 하드웨어 환경은 잡스처럼 빌 게이츠가 한 마디 했다고 순간적으로 바뀌는 시장이 절대로 아닙니다. 수백 개가 넘는 하드웨어 부품 제조사가 있고, 어떤 조합의 하드웨어가 나올 지 예측 불가능한 환경입니다.
저 기사는 평범한 애플교적 관점이라 딱히 뭐랄것도 없는 수준이군요
전 세계 어느 나라 어느 업계에도 컴퓨터 비스무리한것만 있으면......
그야말로 프리메이슨
1. 어도비 플래쉬 : 이 경우는 두 가지 문제가 있지요. 일단 애플 이전에는 어도비 플래쉬는 모바일 기기의 퍼포먼스 문제 때문에 해당 시장으로의 진입이 안되었던 것이고, 애플 이후로는 모바일시장에서의 애플 셰어가 크기 때문에 애플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중이지요... 즉 후자의 경우는 대체로 자기실현적인 내용.
2. FDD : FDD사멸의 일등공신은 어디까지나 USB드라이브이지요. USB드라이브가 애플의 작품이라면 인정하겠지만....
3. 타워형 본체 : PC시장에서의 타워형 본체는 다만 미니타워형으로 이전했을 뿐이고, 그 이유도 칩셋에 주변장치의 기능이 집적되면서-내장오디오/내장비디오 등- m-ATX가 흥하게 되면서 가능했던 이야기이지요...
4. 전용 휴대형 게임기 : 전용 휴대형 게임기 영역을 잠식하고 있기는 한데 문제는 이 부분의 경우 대체와 신규영역 창출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지요...
5. 음악CD : 아이팟이 나오기 전에도 이 시장은 불법복제 때문에 이미 처참했지요... 이 부분은 아이팟의 등장이 원인이 아니라 MP3 자체의 등장 자체가 원인이라고 보여지는데....
6. ODD : ODD위축의 일등공신은 HDD+USB2.0 의 조합 이지요. 저장용량당 단가나 유연성 측면에서 이동식HDD를 ODD가 따라가기는 힘든 실정...
아, 역사적으로 애플이 죽인 게 확실한 기술이 하나 있기는 있습니다... 바로 PowerPC 프로세서.
애플이 저런 변화를 주도한다는 입장이 아닌 애플이 저런 트랜드를 '찍었는데 맞췄다'는 관점으로 접근해도 1번은 아직 결론이 안난 상황으로 취급불가, 2번은 이미 FDD를 대체하자는 컨센서스가 형성된 상황이었던지라 '찍은게 맞은'케이스가 아니고 3번은 사실관계가 성립 안되고 있고 4번은 그나마 스마트폰의 큰 축중 하나가 아이폰이라는 점 때문에 일정부분 개연성이 있고, 5번의 경우도 이미 MP3불법복제가 만연한 상황에서의 이야기이니 전후관계가 모순되었고, 6의 경우에도 전후관계가 안맞지요... 애초에 맥북에어 2008 이전에도 좀 작은 랩탑들은 중량 문제로 ODD를 삭제하는 경우가 심심찮았으니까요.
2. 애플이 최소한 자사 제품에서 밀어낸 것은 맞습니다. 스티브 잡스가 FDD를 죽였다는 평판을 가지고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당시에 FDD를 대체하자는 공감대는.. 제 기억으론 없었던 것 같은데요. FDD를 확장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은 있었지만. 실제로도그 이후로도 쭉 써왔구요. 아이맥은 당시엔 최초의 레거시 프리 PC였습니다.)
3. 애플은 일체형 PC를 사랑합니다...만, 사실 이건 기술-이 아니라 디자인 쪽에 가까워서.
4. 밀어내고 있는 중입니다. 완전히 밀어낼거라 여기진 않습니다.
5. 아이튠즈는 실제로 미국 음악 시장 자체를 바꿔버렸습니다. 그 얘기일거라 생각합니다.
6. 저건 최근 맥미니에 CDD가 탑재되지 않은 것을 두고 하는 말 같아요. 앞으로 광학 드라이브를 몰아내려고 하는 것 같다고.
이정도면 무리수 맞죠
시장에서 영향력을 잃고 있거나 사장되어가는 기술 또는 매체이고,
애플이 그 기술이나 매체에 우호적이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내면
애플이 사장시킨거라고 무리수를 두고있네요.
제목을 저렇게 쓴 건 기자 본인 아닙니까?
2. FDD가 죽어버린 것은 시대의 흐름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었던 것 같습니다. 90년대 중반 쯤만 해도 FDD를 달고 나오는 기기가 대부분이었지만, 그 때도 이미 FDD는 하나의 계륵이었죠. 파일이 킬로바이트 단위였던 도스 시절에나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었지, 파일 하나가 메가바이트 단위가 되어버린 90년대 후반 정도에는 1.44mb짜리 디스켓으로 그림파일 하나 옮기는 것도 어려워졌으니까요. 당장 디지털카메라에 쓰는 플래시메모리가 64mb, 128mb 이렇게 나오는 상황이었는데 그 때까지 FDD가 살아있었던 건 딱 하나, 비상시의 부팅 때문이었습니다. 그게 해결되고 나서는 더 이상은 그대로 둘 가치가 전혀 없게 된 거고요.
3.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야 타워형 본체를 더 이상 보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됐지만, 여전히 고성능을 요하는 작업에는 타워형 본체가 필요합니다. 애플도 그걸 모르지 않기 때문에 맥프로를 계속해서 내고 있는 것이고요. 물론 맥미니나 아이맥 같은 작고 예쁜 컴퓨터 시장에서 애플이 상당한 위치를 점하고는 있지만, 전체적인 흐름이 애플에 의한 것이라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지 않나 싶어요.
4. 휴대용 게임기가 죽어가고 있는 데에는 다른 것들과는 다르게 애플의 영향이 상당히 컸다고 생각합니다. 아이폰, 아이팟 터치가 나오기 전에도 모바일 게임 시장은 존재했고, 또 윈도우 계열이나 심비안 계열로 구동되는 게임류도 많이 있었지만, 지금 같이 압도적인 양상은 보여주지 못했잖아요. 고성능의 gpu와 자이로 센서와 같이 게임에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 그리고 (상대적으로)쉬운 개발과 보급을 가능케 하는 os. 이전의 모바일 게임과는 확연히 달랐지요. 이 정도면 애플의 영향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5. 음악CD는 mp3라는 게 나오면서부터 이미 시한부 선고를 받은 매체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처음에는 mp3의 음질이 아주 조악해서 결코 대체물이 될 수 없을 것이다, 라는 평도 있었지만, 폭발적인 보급이 있은 후로는 이젠 음악CD는 그 뮤지션의 팬이 아니고서야 사지 않게 되는 물건이 되어버리지 않았나요. 그 계기가 한국에서는 소리바다였고, 미국에서는 냅스터 같은 것이었고요. 물론 미국에서는 아이팟이 mp3 플레이어의 대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답니다만, 아이튠즈는 mp3의 합법적인 보급로를 맡은 것이고, 음악CD는 합법이든 불법이든 간에 이미 mp3의 확산 앞에서 무너져가고 있었지 않나 싶습니다.
6. ODD는 결국 FDD처럼 될 것 같아요. 메가바이트의 시대를 넘어서 이젠 왠만한 동영상 파일이나 프로그램이 기가바이트 단위로 올라가버렸는데 더 이상은 기껏해야 700mb 정도(DVD롬이라면 4gb 정도) 저장할 수 있는 ODD가 설 자리가 없지 싶습니다. 또 usb를 이용한 부팅도 가능해졌고요. 심지어 부팅은 usb 등의 플래시 메모리로, 작업은 내장 hdd로 하는 경우도 생겼지요. 레디부스트 같은 기능들도 있으니...... 물론 애플이 맥북 에어에서 꾸준히 ODD를 배제하고 있습니다만, 이것 역시 시대의 흐름일 뿐이지 애플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애플이 타이밍을 상당히 잘 잡아왔다는 거, 이거 하나는 확실하지 않은가 싶어요. 버릴 기술은 때 되면 버리고, 잡을 트렌드는 때가 되기 전에 잡고.
2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님의 논지는 "낙후한 기술에 대한 시장의 자의적인 선택"으로 보는 경향인데, 왜 없어져야 하는지를 인지하고 선도해나가는 주체가 애플이였다...는게 칼럼의 요지인듯.
3번은 디자인 이념의 문제지 기술 문제가 아닌데, 원문의 병크네요. 백번 양보해서 공업디자인을 기술이라고 뭉뚱그려 본다 해도, 타워형이 밀려나간다고 보기에도 무리니까요. 다만 아이맥과 맥미니의 등장이 아마 소비자시장에서는 단지 일부분이라 할지라도, 업계에는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전에 앞서 시장점유율이 아무리 낮더라도 애플의 디자인이념의 선도력이 여러 분야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이 더 본질적이라고 봅니다.
4번의 경우 저는 그냥 원문을 동의할수 없네요. 모바일 디바이스와 전용 휴대게임기는 공존한다고 봅니다.
5번은 님절로 애플이 음반시장 디지털화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의 증거를 말씀하셨네요...
결국 문제를 어떤 시각으로 보냐는겁니다. 어떤이는 긍정적, 어떤이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데... it관련해서 애플 두글자만 나오면 언제나 많은 피드백과 논쟁이 벌어진다는건 언제까지 계속될지 지켜봐야겠죠
더욱 데이터집약적인 시스템이 FDD에서 CD로 그리고 USB로 진화하는 과정에 애플이라는 기업이 생존해 남았을 뿐이지, 시스템 규격을 애플이 제안한 것도 아닌데 무슨 소리인지...
이것이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은 꼭 컴퓨터 제품이 아니더라도
기존의 가정용 콘솔 게임 시스템 역시 전자테이프에서 플로피 디스크형(팩형) 여기에서 CD형, 그리고 지금의 DVD시스템까지...동일한 구조변화를 봐도
이러한 경향은 전자기기를 개발하는 업체들의 하드웨어적인 변화에
완제품 업계가 따라온 것에 지나지 않음.
세번째 역시 애플이 컴퓨터 업계의 최대 주류가 아닌 이상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흐름을 먼저 보였거나
아니면 새로운 흐름의 일변일 뿐이지 애플이 시장을 선도하는 것은 아님. 시장 점유율 상에서 애플이 무언가 흔들만큼의 무게가 애초에 있던가?
잡스 아니었으면 님들은 아직도 애니악 쓰고 있었음.
하일 잡스!
원글 작성자는 이걸 '애플 때문에 한물 간 물건'이라고 번역했고, 이 글쓴이는 '애플 때문에 사라진(사라지게될) 6가지 기술'이라고 번역했네요. 원글 작성자의 오역이 오해의 근원이 된 듯.
이번 포스팅은 무리수가 꽤 심하신 것 같습니다...
몇가지는 아주 관련이 없다고도 할수 없지만, 그냥 그럴듯하게 끼워 맞춘것 뿐입니다.
이런식이면 구글과 MS는 세계 지배도 할수 있겠습니다 그려.
그렇지만 '내가 IT시장에서 플로피를 버리게 만든 선구자다!' 라고 말할 순 없죠.
왜냐하면 제가 IT시장에 끼친 영향따위는 전무하니까요.
그래서 점유율을 따지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내가 버릴 때 남들도 버렸다' 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내가 버렸기 때문에 남들도 버렸다' 가 성립이 되어야겠죠.
적어도 이 글에선 그런 근거가 조금 적지않은가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피씨에 이것저것 기능을 집어넣어서 필요한 순간에 쓸 수 있게 만드는거죠.
플로피 디스크도 그렇고, 5.25도 잘 안 쓰이게 되었을 때에도 피씨에는 꽤 오래 붙어나왔던걸로 기억합니다.
지금 당장 안 쓰더라도 예전에 썼던 걸 다시 읽어야 할 일도 있고.
잡스느님의 라이프스타일대로 사는게 참 자랑이십니다ㅋ
아이폰이 나왔을때는요.
아이패드는 또 어땟고...
그때 뭐라고들 하셨는지 생각해주시고
오늘 같은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보지 못하신 분들은 조용히 계셔주셨으면해요...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다들 너무 까칠하신 것 같습니다. 원본 기사는 충분히 할 만한 말을 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모든 것을 창조했다고 주장하지도 않습니다. 소위 말하는 앱등이 기사는 아닙니다. 내용이 별로 과격해 보이지도 않는데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은 제목이 과장되었기 때문일까요? 저 제목도 크게 무리가 있어 보이진 않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비판이 나올 만도 합니다.
저 기사를 '애플이 혼자 힘으로 모든 구식 기술을 없애버렸다'는 주장으로 받아들이는 게 더 힘들지 않나요? 마지막 문장도 'Apple may not be the only only companies to stray away from these technologies, but they have been far more aggressive about discontinuing aging technologies than others. Do you think Apple has prematurely given some of these technologies the cold shoulder?'일 뿐인데요.
이라고 하셨는데
1998년에는 FDD의 수명이 다해가진 않았습니다.
그리고 아이맥이 FDD없어도 잘펼려서 대부분 컴퓨터 사양에서 빠진것 처럼 쓰였는데 이부분은 정말 틀린 내용입니다. 인텔의 FDD미지원을 내비치고 거기에 USB메모리 활성화로 없어진거지
애플과 무관합니다.
다들 릴렉스~하자구요.
누가 또 파시스트라고는 안 하겠지 ㅋㅋㅋㅋㅋ
1번은 좀 의외네요.
같이 WinWin전략 아니였나요? ㄷㄷ
아...중요 부품 대주는 삼성도 까려는 잡스횽인데...
제가 생각이 짧았나 봅니다...;;;;
플로피디스크, 타워피씨는 그냥 하드웨어의 고집적/소형화의 예전부터 진행되어 왔고 지금도 진행중이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 나갈 유구한 과정의 하나였을 뿐이고,
휴대용 게임기는 어차피 덕후전용에 가까워서 아이폰용 여친 앱이 나오고 있는 와중에도 닌텐도 러브플러스는 팔려나가고 있을 뿐이고,
음악씨디는 엠피쓰리라는게 나왔을때부터 이미 좆망 외국은 몰라도 한국에서는 아이튠즈에서 음악을 사듣는 사람보다 돈안내고 불법다운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을텐데..
랩탑 디자인도 그렇고 말입니다.
6가지 기술들 모두 PC제조 업자들은 불필요성을 인정은 했지만 그들은 위험부담때문에 시도는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 들은 제품이 팔리지 않을까봐서 불필요한 기능들의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과한건 사실입니다..
글 어디에도 애플때문에 퇴보된 기술들이 사라지기 시작되었다는 부분은 없습니다...
애플은 기술들의 퇴장을 가속화시켰다는 다는 말 밖에 안보이는데, 어떻게 다르게 이해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애플은 남들이 위험부담 때문에 퇴보된기술의 퇴출에 소극적일때 위험부담을 가지고 감으로써 다시 일어설수 있었고 이제는 시장을 지배하려는 야욕까지 부릴수 있었다는 것을 명심해야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일일이 댓글 달아줄 필요는 없다고 보여집니다만.
말이 안통하는 인간과의 대화 만큼 피곤한것도 없어요.
진행중이거나 내일 일어날 일을 논할때는 더더욱 그렇죠....
혹시 이분들은 앞으로 영원히 맥 안사고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절대 안쓰면서 사실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