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12/11/15 16:10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보느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동영상



우리는 어떤 환상 속에 살아간다. 그것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법이다. 그 방법이 누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의 문제도 중요하겠지만, 이 TED 영상에선 다른 것을 말한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람들이 그것을 인식하는 방법을 바꿔야 한다는 것. 세스 고딘도 얼마전 블로그에서 비슷한 말을 했었다. 진정한 컴플레인 대응은, 고객의 감정을 바꾸는 것이라고.

...알면서도, 어렵다. 하긴 그게 쉬운 일이겠냐만...

* 간만에 볼만한 TED 영상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별 생각없이 틀었다가 재미있게 봤네요. 사실 프레임이니 뭐니 해서,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것도 이런 이야기입니다.

* 중간에 한국 신호등에 대한 사례가 나옵니다. 한국에선 빨간 신호등에 카운트(?)를 설치했다고요. 중국은 파란 신호등에 했는데. 근데 왜 저는 카운트 하는 빨간 신호등을 보지 못했을까요...-_-;

덧글

  • 2012/11/15 16:45 # 삭제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marmalade 2012/11/15 16:54 # 답글

    파란불에 카운트 하는건 청각장애인을 위한 장치로 알고 있는데..
    빨간불에? 음. 저도 본적이 없네요ㅎㅎㅎㅎ
    지나가다 보시면 꼭 알려주세요ㅎㅎ
  • 자그니 2012/11/15 23:23 #

    모르겠어요. 본 적이 없어서-
  • tanato 2012/11/15 21:33 # 답글

    빨간불에 저 장치한건 아마 실험적으로 한거라 서울인가 경기도 어디 한구석에 몇개정도만 있는걸로 압니다. 저도 한번정도밖에 지나가면서 '어..신기하네..' 정도로 느꼈었으니까요. 언제였는지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ㅎㅎ..
  • 자그니 2012/11/15 23:24 #

    하지만 강의에선 한국의 훌륭한 사례로 소개되고...
  • YoUZen 2012/11/15 21:35 # 답글

    검색해보니 우리나라 사람 작품은 아니군요. ㅠㅠ

    http://auxo.co.kr/94473676
  • 자그니 2012/11/15 23:24 #

    여기서 아우크소님 블로그를 보게 될 줄은... ^^; 확실히, 한국 디자인도 아니었네요.. 흠흠.
  • 2012/11/16 16:09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2/11/16 17:27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Nanook 2012/11/19 04:10 # 답글

    Roy Sutherland는 한국의 실제 사용사례가 아니라 실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어요. 한글자막이 그 부분에 대해 조금 애매한듯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