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18/04/07 02:26

전자책, 10년 대여 사라진다 미디어 갖고놀기



생각지도 못한 상황이 생겼습니다. '건전한 출판유통 발전을 위한 출판/유통업계 자율협약'의 시행 세칙에 따라, 전자책 서점에서 판매중인 모든 전자책 대여 기간이 최대 90일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그동안 판매했던 10년, 50년 대여 같은 책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사실 말이 좋아 대여지 할인 판매에 가까웠는데, 편법 할인을 막겠다는 이야기입니다.

궁금한 것은, 저 자율협약이 뭔지를 모르겠어요. 작년 8월에 있었던 도서 정가제 3년 연장 합의(링크)의 후속 조치일 거라 그냥 짐작만 해봅니다. 교보문고 SAM 같은 경우엔 180일 대여할 수 있는 회원제 서비스인데, 여기와의 계약은 또 어찌 되는 지도 모르겠네요. 교보문고 SAM에는 아직 공지사항이 올라와 있지 않습니다.

뭐, 출판 업계는 대여라는 방식을 옛날부터 악의 축으로 여기고 있었던 것 같기에, 딱히 더 말이 통할거다-라고 보진 않습니다. 애당초 저 협의에 참여한 단체가 정말 독자를 대변하고 있는 지도 모르겠는데요. 장기 대여라는 방법이 실제로는 마케팅 방식으로 이용됐다는 것을 모르는 이들도 없을테고요. 앞으로 어떻게 하려나 모르겠네요. 충동구매 줄여주니 좋다고 해야 하나요.

... 음, 이건 좋군요. 감사합니다. 리디북스 책장에 책이 1000권이 넘어요. 솔직히 읽은 책은 100권이나 될까요? 이게 다 충동구매... 탓이죠. 연쇄할인마 스팀에 버금갔던 리디북스 덕분.

아직 전자책으로 크게 수익을 냈다는 이야기는 안들려 옵니다. 돈이 되는 분야는 여전히 장르 소설이죠. 일반 도서들은 팔릴 책만 팔릴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대신 최근 몇년간 붐처럼 이어지고 있는, 전자책으로만 내는 지식 콘텐츠 책들은 좀 더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출판 시장 자체가 커질거라고는 못말하겠습니다. 싸게 못사서 나오는 불만이 아니라, 읽을 만한 책이 없다는 불만이 아니라, 책을 더 많이 읽게 만들기 위해 업계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그걸 보기 힘들어서 해보는 말입니다. 뭐, 90일 대여인만큼 대여료가 확 떨어지는 방법은 고려해 볼 수 있겠네요. 아니면 10만원짜리 책 사면 5만원 페이백! 이런 이벤트가 늘어날라나요.

예, 저 지금 빈정거리고 있습니다. 맞아요. 독자들 의견은 듣는 시늉도 보지 못했던 한 독자의, 빈정거림입니다. 용돈 아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하는. 다음 번엔 자율 협약으로 중고책 유통을 막을 차례인가요?

덧글

  • 시화 2018/04/07 06:48 # 답글

    하... 뭐, 요새 돈도 없어서 잘 결제도 안하고 있지만... 충동구매 할 일이 줄었네요.
    저렇게 해서 벌리는 돈이 더 늘어날 거란 생각을 하는걸까요...
  • 자그니 2018/04/07 18:09 #

    할인 판매를 막겠다는 거죠. 하...
  • PFN 2018/04/07 07:06 # 답글

    예이~ 이제 전자책 시장마저도 끝났군요 ㅋㅋㅋㅋㅋㅋㅋ
    어떻게 법을 만들때마다 독서 인구를 폭삭 내려앉히기만 하는지 ㅋㅋㅋㅋ
    파이를 늘릴 생각은 죽어도 안하고 어떻게 쥐어짤지만 생각하는 아귀다툼의 민족답습니다.
    안그래도 이북 경쟁력 똥망인 상황에 아예 팔다리를 꺾어버리네요.
    저같으면 DRM 해제 안되는 국내 90일 책은 아예 사지도 않겠습니다.
  • 자그니 2018/04/07 18:09 #

    원래 일반책은 크게 장사가 잘 안됩니다. 이익은 다른쪽에서 얻죠.... 90일 대여책은 가격이 저렴해야 좀 나갈 것 같습니다.
  • TomiParker 2018/04/07 07:07 # 답글

    소비자보호원이나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자그니 2018/04/07 18:10 #

    도서정가제가 이미 법률로 적용된 부분이라, 어렵습니다
  • 나른한 치타 2018/04/07 07:53 # 답글

    신난다! 책을 읽으면 있는 척하는 세상에 한 발짝 더 가까워졌군요
  • 자그니 2018/04/07 18:11 #

    책 읽는 인구는 줄어들지만 읽는 텍스트는 늘어나고 있다는 이상한 현실에서 살고 있어요
  • 포스21 2018/04/07 08:47 # 답글

    책 안읽는 국가로 고고!~
  • 자그니 2018/04/07 18:11 #

    그런데도 읽는 텍스트는 늘어나고 있습니...
  • 조욱하 2018/04/07 10:45 # 답글

    저는 동네서점 이용 하지 않기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도서정가제 같은 악법이 효과를 내는 꼴을 보고 싶지 않거든요.
    덕택에 전자책, 중고책 구입을 잘 하고 있었는데 전자책 구입을 줄여준다니 제 통장이 고마워하겠네요.
  • 자그니 2018/04/07 18:11 #

    동네 서점... 전 색깔있는 동네 서점이 많이 나타나주면 좋겠어요.
  • areaz 2018/04/07 11:47 # 답글

    안사요.

    도서관에 기부금 내고 책 빌려보는 1인입니다.
  • 자그니 2018/04/07 18:12 #

    생각해보니 저도 도서관 이용률이 늘었네요. 아 그런데 기부금은 왜 내신 건가요...;;
  • areaz 2018/04/11 23:36 #

    내가 볼 책을 대신 보관해 주는? 고마운 도서관에 대한 의리로 꽤 오래 전부터 정기 기부를 하고 있습니다. ;;
  • 자그니 2018/04/12 12:23 #

    와,,,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멋지네요...
  • 라비안로즈 2018/04/07 12:14 # 답글

    참으로 참신한 일이네요. 참신해서 전자책도 사기 싫어진다아아아 모드가 되네요.
  • 자그니 2018/04/07 18:14 #

    요즘 책값이 하도 올라서.. 뭐, 지갑 지켰다 생각해야죠.
  • dd 2018/04/07 22:57 # 삭제 답글

    오래 갖고 있지도 못할거 뭐하러 전자책 사나요. 걍 종이책 볼랍니다.
  • 자그니 2018/04/08 13:12 #

    이사를 자주다니면 책이 짐이 되거든요..
  • ㅇㅇ 2018/04/15 13:05 # 삭제 답글

    저는 다른생각입니다. 저작권의식이 정말 없는국민들이 한국국민들입니다. 90년대 처음 mp3가 태동됐다가 곡당 유료로 하겠다고했을때 네티즌과 소리바다 유저들 등등 mp3는 오히려 가수들에게 광고효과도 크다면서 무료화를 주장했었습니다. 지금생각하면 진짜 쪽팔리는 짓거리죠. 정액제무제한 음악서비스스같이 한국처럼 막퍼주는 국가도 없습니다. 음원시장은 완전하 초토화되었죠 아이돌들은 일본같은 나라에서 수익을 내지 한국에선 몇푼벌지도 못합다. 전자책의 막퍼주기 시장도 마찬가지라 봅니다.
  • ㅇㅇ 2018/04/15 13:07 # 삭제

    혜택사라졌다고 뭐라하기전에 우리스스로그 저작자입장도 생각을 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이 왜선진국인지 내수최강국인줄 아세요? 내가 돈을주고 사줘야 서로가 윈윈한다는 의식이 세계에서 최고여서 입니다.일본 절데안망해요. 음악cd가 아직까지도 가장많이팔리는게 일본입니다. 소장용으로 사는거죠. 책벌레라는건 다아실테고 일본인들이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