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0/06/25 18:23

파나소닉, 브이로거용 카메라 루믹스 G100 발표(LUMIX G100) 디지털 기기 리뷰/정보



어제 한 분이 파나소닉 카메라 얘기하셔서 알게된 소식. 예, 파나소닉에서 마이크로 포서드 센서를 탑재한 브이로거용 카메라를 발표했습니다. 이름은 루믹스 G100(LUMIX G100). 어쩌면 브이로거용이라 발표된 최초의 마포 카메라일지도?? (농담)






발매 예정일은 2020년 7월 하순. 영국 예상 판매 가격은 본체 590 파운드(약 88만 5천원), 표준 줌 렌즈가 들어간 렌즈킷이 670 파운드, 삼각대 그립을 합친 세트가 720 파운드입니다. 소니 브이로거 카메라보다 저렴...합니다? 본체 무게는 303g, 렌즈와 합친 무게는 412g.

렌즈는 'LUMIX G VARIO 12-32mm F3.5-5.6 ASPH. MEGA O.I.S.'라고 합니다. 2030만 픽셀 CMOS 센서는 (당연히) 4K/FHD 동영상을 찍을 수 있고, 최대 ISO 25600. 대응 렌즈 장착 시에는 5 축 손떨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뷰파인더(EVF)는 약 386만 화소. 크기는 115.6 × 82.5 × 54.2 mm.

... 어라라, 가로 길이가 아이폰 11 맥스 프로보다 짧습니다? (아이폰 11 프로 맥스는 77.8 x 158 x 8.1 mm에 226 g)





동영상을 찍기 좋게 자유롭게 돌아가는 3인치 뷰파인더가 달려 있습니다. 브이로거 촬영에 적합한 기능도 넣었는데, 소셜 미디어용 화면 비율을 쓸 수 있다거나, 촬영시 라이브 뷰 화면에 빨간 테두리를 둘러 표시해 주는 등의 기능입니다. 음, 뭐랄까요. 소니 제품에 비하면 좀 더 초보자용(...) 같다는 느낌이..

이 제품 역시, 마이크 3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노키아에서 VR 촬영용으로 개발한 오디오 기능 오조 오디오(OZO Audio)를 라이센스해 탑재했네요. 얼굴이 감지된 방향으로 소리를 기록한다고 합니다. 그밖에도 합쳐서 5가지 사운드 모드 제공. 다른 외장 마이크가 필요없을 정도라고(주장합니다).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USB 충전도 지원. 파나소닉 제품용 삼각대 겸 그립 DMW-SHGR1 를 사용하면, 카메라와 연결해 그립에서 동영상 녹화 시작/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파나소닉 G100, GH5, GH5S, G9, G90, G80 등에서도 사용 가능. 따로도 파는 데 100 달러라서 좀 고가.

아무래도 카메라 업체들이 다 동영상 장비로 핀트를 맞추고 있었던 듯 한데, 문제는 지금 시기가 시기라... 일본,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 출시 일정은 아직 안나와있습니다. 마이크와 그립을 제외하면, 소니 a6000 말고 이 제품을 사야할 이유가 많이 있을까요? 모르겠네요.

더 많은 정보는 루믹스 G100 글로벌 런칭 사이트(링크)보도자료(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덧글

  • 은이 2020/06/26 08:47 # 답글

    영상에 투자중인 파나의 것이라 혹 하지만 소니를 두고 이걸 선택하라.. 고 물으면.. 고개를 돌려 올림을 보고서 소니로 갈 듯...
    옆집이 망한 맛집의 비극이로군요 ㅠㅠ
  • 자그니 2020/06/27 12:37 #

    올림푸스보단 훨씬 나을 겁니다...만, 솔직히 요즘 분위기는 일등도 못믿...
  • 천하귀남 2020/06/26 09:36 # 답글

    파나소닉도 자체 반도체 포기하면서 소니센서 받아 쓰니 이것도 올림프스의 미래와 겹쳐 보이는 군요.
    물론 상급기는 파나센서이긴 한데... 파나 상표 붙은 위탁생산 반도체일듯 해서 사정에 따라 공급 흔들릴 우려가 높지요.
  • 자그니 2020/06/27 12:39 #

    센서 하나로 미래를 논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 천하귀남 2020/06/27 12:41 #

    캐논 소니가 3000만 화소 보급기 내는데 몇년씩 소니 사골센서로 제품 만들면 미래가 있을까 합니다.
  • 자그니 2020/06/27 17:10 #

    중요한 건 그걸로 얼마나 영상을 잘 찍는 카메라를 만들었는가..겠지요. 어차피 센서는 재료(?)입니다. 좋은 재료도 중요하지만, 요리는 요리사가 얼마나 맛있게 요리했는가에 달려있으니까요. 물론 맛있다고 사람들이 줄 서서 먹는다는 보장은 없지만...
  • 천하귀남 2020/06/27 17:25 #

    파나소닉은 소니제 2100만 화소 2015년부터 사용해 4K찍었습니다. 그런데 2020년에 나온 기기 센서가 2050만으로 오히려 뒤로 가는 상황은 정상 이라 하기 뭐합니다. 타 메이커도 4K촬영 능력 확보 한 상황에서 스틸 촬영보강을 위해 3000만 화소로 늘리고 있고 8K촬영 준비들어가려고 더 높은 화소 개발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음식재료는 10년이 지나도 그리 변하기 어려울지 모르지만 센서의 기술발전은 눈부실 지경입니다. 최신기술에 의한 향상된 화질과 더 큰 화면을 누리고 싶은 고객이 다수이지 제한된 크기의 구형센서 원하는 고객은 그리 없을 겁니다.
  • 자그니 2020/06/27 19:04 #

    아니.. 그건 파나소닉도 알것 같은데요... ^^;;; 다만 L마운트 풀프레임 미러리스에 집중했다가 성과를 못냈죠. 그래서 그냥 저거 하나 더 내봤달까요. GH5S라는 손떨방 없는 천만 화소짜리 영상용 카메라가 히트한 것도 있고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